본문 바로가기
여행 관련 정보

도쿄 디즈니랜드 어플 사용후기(디즈니랜드 후기 아님)

by 모두 행복하기를 2023. 12. 30.

급 여행 급 디즈니행

원래 계획에 디즈니는 없었는데, 언제 또 도쿄에 가겠나 언제 또 일본에 가겠나 싶어서 짧게라도 즐기려고 예약한 디즈니...^^ 아침부터 저녁까지 하루 온종일 봐도 부족하다는데 우리에게는 시간이 얼마 없었다. 

 

어플은 사용 끝나자마자 지워버려서(여행 준비하느라 받았던 스트레스 때문에 끝나자마자 다 지워버렸다..) 어플은 없지만 어차피 한국에서는 디즈니 어플가지고 할 수 있는게 없다. 

 

미리 구입한 입장권 QR코드를 미리 등록하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게 아무것도 없다...(들어갈때 보여줘야하니 미리 어플에 등록해놓으세용)

이것 말고는 모든 것이 디즈니랜드 안에서만 가능하다. 결제카드 등록, 레스토랑 예약 등 디즈니랜드 안에 있어야 확인 가능하다. 다만, 내가 어플을 사용하면서 도움이 될만한 것들을 확인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해서 일찌감치 글을 쓴다. 

 

1. 한명의 어플에 여러명의 입장 QR코드를 입력하는 경우, 자동으로 그룹으로 묶이는지. 묶이면 DPA 등을 신청할때 한 명이 다 할 수 있는지 

: 가능하다. 내 폰에 세명의 입장권을 등록해놓았고 이대로 그룹이 된 것인지에 대한 확신은 없어서 갈 때까지 불안했었는데, 사용해본 결과 한명이 QR코드 등록해놓으면 그걸로 끝이다. DPA 결제도 입장권 등록한 폰에서 다 하면 된다. 

(각자 어플을 깔고 그룹을 해야하는줄 알았는데 아이들이라 그렇게 하기가 힘들어서 에라 모르겠다 하고 안했는데 다행히 자동그룹으로 묶였다)

 

2. 결제카드를 등록해놓으면 입장하자마자 DPA를 끊을 수 있을텐데... 미리 결제카드를 등록할 수 없다.

: 디즈니 홈페이지에서 입장권을 구입하느라 카드를 등록해놓은 사람은 할 수 있다는 얘기가 있는데, 나는 KKDAY에서 저렴하게 결제했기 때문에 입장해서 걸어가는 길에 DPA를 결제해야 했고, 걸어가면서 카드등록을 하고 결제했다 ㅠㅠ 하.. 얼마나 스트레스를 받았는지. 카카오뱅크 마스터 표기가 있는 체크카드로 결제했는데 한번에 성공! 결제 잘 안되는 카드 있다고 하니 되도록이면 마스터표기 있는걸로 하시길.

(아무튼 DPA카드 등록하는 사이에 미녀와야수는 17:00시까지 예약이 차버려서 나는 2시간을 넘게 줄 설 수 밖에 없었다.ㅠㅠ 꼭 타보고 가야했기에 계속 기다렸다. 울며 겨자먹기로 베어맥스 DPA를 결제했다. 베어맥스 후기는 잠시 후에.)

 

3. DPA 사용 가능 시간 지나면 못 쓰나요? DPA 날아가나요? 

: 안 날아간다. 사용 가능하다. 2번에서 말한 미녀와야수를 기다리느라 베어맥스 DPA 입장 가능 시간이 지나고 말았다. 13:05 까지였는데 13:18분이 되어서야 베어맥스에 도착했다 ㅠㅠ 미녀와야수를 기다리는 동안 45,000원을 날리는 것인가...하는 걱정에 즐기지도 못하고 스트레스 받고 있었다. 그렇다고 2시간 반 기다린 미녀와야수를 포기할수도 없고.. 그냥 내가 시간계산을 잘못한 똥멍청이여서 돈을 날린다면 어쩔수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베어맥스에 가서 DPA 보여주니 시간과 관계없이 들어가게 해줬다. 이 부분 걱정하는 글을 본 적이 있는데 들어갈 수 있다!!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ㅠㅠ 베어맥스 완전 재밌고 발랄하다 ㅋㅋ 꼭 타시길. 

 

4. DPA 현장에서 등록가능하지만 등록하러 가려했더니 줄이 이미........ 하하... 시간 여유가 있음 상관없지만 그냥 빨리 어플에 카드 등록하고 결제하세요. 그게 빠름.. 

 

5. 시간이 부족해서 지도가 눈에 안 들어오고 길 찾기가 힘들다면 직원에게 물어보면 된다. 그냥 놀이기구 이름만 말하면 대부분 잘 알려준다. 그 방향으로 걸어가면서 디즈니랜드앱 지도를 확인하면 금방 발견할 수 있다. 

 

진짜 맨땅에 헤딩하며 다녀온 일본 여행이라... 나같은 사람들을 위해 좋은 정보를 많이 주고 싶었다. 최근들어 P로 살고 있었는데 여행 준비하는 3주간 파워J가 되어서 너무 스트레스 받았다. 그래도 아이들이 행복해했으니 그걸로 나도 행복.

728x90
반응형